7.1 값을 여러 출력하기

print(값1, 값2, 값3)

print(변수1, 변수2, 변수3)

값이 공백으로 띄워져서 줄로 출력된다.

 

7.11 sep으로 사이에 문자 넣기

sep : 구분자(separator)에서 따온 .

print(값1, 값2, sep='문자/문자열')

print(변수1, 변수2, sep='문자/문자열')
>>> print('이름', '주소', sep=':')

이름:주소

>>> print('Hel', 'lo', sep='')      # sep에 빈 문자열 지정해서 붙일 수도 있다.

Hello

>>> print(3, 6, sep='x')          # sep에 일반 문자열 지정 가능

3x6

 

출력값 각각에 줄바꿈 하기!

>>>print(1, 2, 3, sep='\n')

1

2

3


>>> print('1\n2\n3')

1

2

3

 

7.2.1 end 사용

print() 줄에 출력한다.

print() 여러 사용해서 줄에 출력하고 싶을 end 사용한다.

>>> print(1, end='')

>>> print(2, end='')

>>> print(3)

123

 

기본적으로 print end \n 지정된 상태인데, end='' 강제로 \n 지워준다.

end 현재 print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다음에 오는 print 영향을 준다.

변수 이름 규칙

  •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 됩니다.
  • _(밑줄 문자)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특수 문자(+, -, *, /, $, @, &, %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파이썬의 키워드(if, for, while, and, or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변수의 선언과 사용

>>> x=10

>>>x

10
>>> y = 'Hello, world!'

>>> y

'Hello, world!'

 

type(x) 이용해서 변수의 자료형을 알아낼 있다.

 

>>> x, y, z = 10, 20, 30

>>> x

10

>>> y

20

>>> z

30

 

변수이름1, 변수이름2, 변수이름3 = 1, 2, 3

변수 여러 개를 번에 만들 있다.

 

>>> x=y=z=10

>>> x

10

>>> y

10

>>> z

10

 

변수의 바꾸기

>>> x, y = 10, 20

>>> x, y = y, x

>>>x

20

>>>y

10

변수 1, 변수2 = 변수2, 변수1 형식으로 변수의 값을 바꿀 있다.

 

del 변수

변수를 삭제할 있다.

>>> x = None

>>> print(x)

None

>>> x

(아무것도 출력되지않음)

 

다른 언어에서 Null 문자로 표현하는 것을 파이썬에서는 None이라고 표현한다.

 

 

6.3 Input 함수

>>> input()

Hello, world! ( 입력 )

'Hello, world!'

입력한 문자열이 그대로 출력된다.

 

>>> x = input()

(입력)

입력한 내용이 x 저장되고,

>>> print(x)

(입력한 내용 출력)

 

입력을 받는 상태인지, 출력이 없는 상태인지 인지하기 위해서,

>>> x = input('문자열을 입력하세요: ')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입력)

>>> x

'(입력한 내용)'

input()내부에 넣은 문자열은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값의 용도를 미리 알려줄 사용한다. 다른 말로 프롬프트라고도 부른다.

 

6.3.3 숫자의 구하기

a= 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b= 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print(a+b)

10 20 입력하면 1020 출력된다.

왜냐하면, input에서 입력받은 값은 항상 문자열 상태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형태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해서,

int 사용하여 입력 값을 정수로 변환해서 변수에 저장해야한다.

a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b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print(a+b)

 

 

6.4 입력 값을 변수 개에 저장하기

변수 1, 변수 2 = input().split()                 #입력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변수 1, 변수 2 = input()..split('기준 문자열')

변수 1, 변수 2 = input('문자열').split()          # 입력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변수 1, 변수 2 = input('문자열').split('기준 문자열')

 

 

6.4.3 map 사용하여 정수로 변환하기

map int input().split() 넣으면 split 결과를 모두 int 변환해준다.

변수1, 변수2 = map(int, input().split())

변수1, 변수2 = map(int, input().split('기준문자열'))

변수1, 변수2 = map(int, input('문자열').split()

변수1, 변수2 = map(int, input('문자열').split('기준문자열')

 

 

+) 큰 숫자 표현하기

>>> x = 100_000_000

100000000

평소에는 ,로 자릿수를 구분하지만, 파이썬에서는 _로 자릿수를 구분한다.

,를 사용하면 튜플 자료형이 된다.

>>> x = 100,000,000

(100, 0, 0)이 저장된다.

5.1 정수 계산하기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정수(int), 실수(float), 복소수(complex) 구분한다.

>>> 1+1

2

>>> 1-2

-1

>>> 2*2

4

>>> 5/2

2.5

파이썬 2 에서는 5/2 2 나오고, 파이썬 3에서는 5/2 2.5 나온다.

ex) python3에서는 >>> 4/2       => 2.0 결과가 나온다.

 

5.1.2 나눗셈 소수점 이하를 버리는 // 연산자

파이썬 3에서 정수끼리 나눗셈 결과가 정수로 나오도록 만드는 방법.

>>> 4//2

2

>>> 5//2

2

// 버림 나눗셈(floor division)이라고 부른다. 나눗셈의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실수에 // 연산자를 사용하면 결과는 실수가 나오며,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결과는 .0으로 끝나게 된다.

 

5.1.3 나눗셈 나머지를 구하는 % 연산자

>>> 7%3

1

 

5.1.4 거듭제곱을 구하는 ** 연산자

>>> 3**4

81

 

5.1.5 값을 정수로 만들기

계산 결과가 실수로 나왔을 강제로 정수로 만드는 방법.

int( 숫자 )

>>> int(3.3)

3

int( 계산식 )

>>> int(5/2)

2

int( '문자열' )

>>> int('10')

10

# int() 문자열을 넣어도 정수로 만들 있다. , 정수로 문자열만 가능.

 

5.1.6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 type() 연산은 그대로 객체의 타입을 알아내는 함수.
>>> type(10)

<class 'int'>

 

+)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는 방법.

>>> divmod(5, 2)             # 5를 2로 나누었을 때 몫, 나머지를 출력.

(2, 1)

 

+) 진수, 8진수, 16진수…

2진수로 표현

>>> 0b110

6

8진수로 표현

>>> 0o10

8

16진수로 표현

>>> 0xF

15

 

 

5.2 실수 계산하기

>>> 3.5 + 2.1

5.6
>>> 4.3 - 2.7

1.599999999996                # 컴퓨터는 실수를 표현할 때 오차가 생기기 때문.
>>> 1.5 * 3.1

4.65
>>> 5.5 / 3.1

1.7741935483870968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하면 표현 범위가 넓은 실수로 계산된다.

>>> 4.2 + 5

9.2

 

값을 실수로 만들기

float( 숫자 )

float( 계산식 )

float( '문자열' )         실수 또는 정수로 된 문자열만 가능.

 

+) 행렬 곱셈 연산( 파이썬 3.5이상부터, numpy모듈을 설치해서 사용 가능)

pip install numpy

행렬 a, b가 있을 때,

>>>a@b

행렬 a와 b의 곱셈 결과 출력

>>> c = a

>>> c@=b

행렬 a와 b의 곱셈 결과를 c에 저장

>>> import numpy as np    # numpy 모듈을 가져옴
>>> a = np.array([[1, 2, 3], [4, 5, 6], [7, 8, 9]])    # 3x3 행렬 생성
>>> b = np.array([[1, 2, 3], [4, 5, 6], [7, 8, 9]])    # 3x3 행렬 생성
>>> a @ b    # 행렬 곱셈
array([[ 30,  36,  42],
       [ 66,  81,  96],
       [102, 126, 150]])

4.1 세미콜론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도 괜찮지만,

줄에 여러 구문을 사용할 세미콜론으로 구분해준다.

printf('Hello'); print('world!')

 

4.2 주석

  • 주석

    • 코드 앞에 # 사용하면 주석 처리가 된다.
    • 코드 뒤에 # 처리해서 내에서 부분적으로 주석 처리 가능.
print('hello world!'); #print('12345')

 

  • 블록 주석

    • 줄마다 앞에 # 넣어준다.
# 더하기

# a = 1 + 2

# print('Hello, world!')

 

+) 파이썬3에서는 .py스크립트 파일의 기본 인코딩이 UTF-8이다. 다른 인코딩으로 저장하면 한글 주석이 깨질 있다.

 

 

4.3 들여쓰기

파이썬은 들여쓰기 자체가 문법이다.

if 다음 줄은 항상 들여쓰기를 해야 한다.

if a==10:
    print('10입니다.')

들여쓰기는 공백 2, 공백 4, 문자로 있는데, 표준 스타일은 공백 4칸을 사용하는 것이다.

 

 

4.4 코드 블록

코드 블록 : 특정한 동작을 위해서 코드가 모여 있는 상태.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기준으로 코드 블록을 구성한다.

같은 블록은 들여쓰기 수가 같아야 하고, 공백과 문자를 섞어 쓰면 안된다.

3.1 IDLE에서 Hello, world! 출력해보기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코드를 실행하여 결과를 얻는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이다.

 

IDLE처럼 파이썬 코드를 직접 입력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파이썬 셸이라고 한다.

>>>부분을 파이썬 프롬프트라고 부른다.

 

-> 파이썬 셸을 통해서 파이썬 코드를 해석해주는 인터프리터를 사용하게 된다.

 

파이썬

      • 파이썬 인터프리터와 대화하듯이 코드를 처리한다고 해서 대화형 , 인터렉티브 모드라고도 부른다.
      • 이런 방식을 코드를 읽고, 평가(계산, 실행)하고, 출력한다고 해서 REPL(Read-Eval-Print Loop)라고 한다.

 

IDLE에서 코드를 잘못 입력해서 올바른 코드를 다시 입력해야 , 위쪽방향 방향키를 입력하면 수정해서 다시 입력할 있다.

 

 

3.2 IDLE에서 소스 파일 실행하기

.py 파일에 저장하고,

소스 코드 편집 창의 Run>Run Module 또는 f5키를 누르면 IDLE 파이썬 창에 실행결과가 출력됨.

 

파이썬 코드를 저장한 .py 파일을 파이썬 스크립트라고 한다.

 

 

 

3.3 명령 프롬프트에서 Hello, world! 출력하기

3.3.1 코드 입력해서 실행하기

      1. cmd 실행
      2. python 입력해서 파이썬 셸을 실행한다.
      3. print('Hello, world!')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실행 결과가 출력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이썬 셸을 끝내려면 exit() 입력 또는 ctrl+z 누르면 된다.

 

3.3.2 명령 프롬프트에서 스크립트 파일 실행하기

      1. 디렉토리를 스크립트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2. python 파일명.py 입력하여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한다.

리눅스와 macOS에서 스크립트 파일 실행

python3 hello.py

위와 같이 실행한다.

 

python3 앞에 붙이지 않고 실행할 수도 있다.

#! /usr/bin/python3

print('Hello, world!')

내용을 hello.py 저장한다.

chmod 명령으로 hello.py 실행 권한을 준다.

chmod +x hello.py

./hello.py

./hello.py 명령어만으로 실행할 있다.

 hello.py 줄에 있는 #! /usr/bin/python3 문장이 중요하다.

문장은 셔뱅(shebang)이라고 한다. 셔뱅은 현재 파일을 실행해 프로그램을 지정할 사용한다.

, 셔뱅에 파이썬 경로를 지정해 놓으면 해당 파이썬으로 .py파일을 실행한다.

+) 파이썬이 설치된 경로가 시스템마다 다를 있으므로

#! /usr/bin/env python3 같이 env 추가하여 사용한다.( env 환경 변수에 지정된 경로에서 프로그램을 찾아서 실행한다.)

 

+) 이전 실행 결과 가지고 오는 방법

>>> 5+8

13

>>> _

13

_를 사용하면 이전 실행 결과를 그대로 가지고 올 수 있다.(_라는 변수에 이전 실행 결과가 저장됨. 그것을 가지고 오는 것)

알고리즘 : 문제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고, 패턴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

 

Python. 네덜란드의 Guido van Rossum 개발.

  • 파이썬의 특징

    • 쉽고 간단한 문법, 배우기 쉬움
    • 객체 지향
    • 다양한 패키지

-> 생산성이 높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

-> 과학 계산에 특화된 패키지 , 과학/공학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

  • 오픈 소스, 무료

+ Recent posts